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38

미국과의 관계를 주목하자 미국과의 관계에 주목하라 한국의 통화는 원화 KW입니다. 국제 교역에서 한국 이외의 나라는 약 200곳이 넘습니다. 당연히 이들 나라와 한국의 화폐가치가 비교됩니다. 그러나 우리는 달러화 외에 그리 큰 관심을 두지 않습니다. 원화 대 비엔 환율, 위안화 환율, 유로화 환율, 파운드화 환율도 분명 존재하지 만 그중 핵심은 달러화입니다. 달러화와 먼저 비교되면 다른 통화들은 자동으로 비율을 조정해 환율이 계상됩니다. 이런 환율을 재정환율이라 합니다. 세계의 경제 역사에서 오늘날 미국의 패권은 압도적입니다. 중국이 미국의 패권에 도전한다고 하지만 현재 수준으론 향후 수십 년 안에 미국을 능가할 것이라고 기대하긴 어렵습니다. 전 세계 군사비 지출을 전부 다 합해도 미국 한 나라의 국방비에 못 미치고, 전 세계 .. 2023. 7. 14.
화폐의 가치를 점검하여라 화폐의 가치를 점검하라 한국 경제가 비약적으로 발전하기 시작한 시점을 대략적으로 짚어본다 면 1988년 서울올림픽 전후라 하겠습니다. 민주화의 열풍이 시작된 시 점이기도 하고, 올림픽과 함께 글로벌 경제에 화려하게 데뷔한 시기이기도 합니다. 이후 30년이 흐른 2019년 한국 경제, 당시와 비교한다면 지금 우리 경제의 체력은 좋아졌을까요, 나빠졌을까요? 사실 이전 질문이라고도 할 수 없습니다. 30년 전과 비교하면 GDP 규모, 기업 경쟁력 상황, 외환보유고 수준 및 경상수지 흑자 규모까지 어느 하나 과거를 압도하지 않는 지표가 없습니다. 경제가 좋아졌다는 것은 국가 경쟁력이 상승했다는 이야기입니다. 당연히 국가 신용도도 높아졌죠. 그렇다면 당시와 비교해서 달러 대비 원화 환율은 어떻게 되었을까요? 경제.. 2023. 7. 13.
중국이 부자가 된 이유, 환율로 '뜨는 나라' 찾기 중국이 부자가 된 이유 중국이 부자가 된 이유는 무엇일까요? 중국에 갑자기 왜 그렇게 많은 개인 부자들이 생겼을까요? 개인이 부자가 되려면 돈(진짜 돈과 가짜 돈은 존재한다)이 많아야 합니다. 여기서 돈은 갚아야 할 돈이 아니라 벌어온 돈을 말합니다. 일을 해서 벌었든, 투자를 잘해서 벌었든 중요하지 않습니다. 무엇을 하든 벌어온 돈이 많으면 부자가 됩니다. 그런데 개인이 돈을 많이 벌려면 일단 그 나라에 돈이 많아야 합니다. 돈 이 부족한 나라에서는 돈을 벌 수 있는 확률이 떨어집니다. 돈은 부채입니다. 국가에서 돈을 많이 발행한다는 것은 누군가 은행에서 대출을 많이 일으켜야 한다는 말입니다. 그렇다면 국가도 빌리고, 개인도 빌리고, 기업도 많이 빌리면 부자가 될 수 있는 걸까요? 한국은 최근 30년 .. 2023. 7. 12.
돈의 가치의 변화와 신용등급 돈의 가치의 변화 국가의 신용도 즉, 돈의 가치를 결정하는 기준은 금본위 시대에서 금 보유량으로 결정되었습니다. 한 나라의 국력은 그 나라가 보유하고 있는 금(돈)의 양으로 결정되었죠. 그러나 현재는 금본위제가 아니라 신용화폐 시스템입니다. 연봉, 자산 규모가 개인의 신용을 결정하는 객관적 기준인 것처럼 국가는 보유외환(개인의 경우 자산 규모), 경상수지 흑자 여부(개인의 소득), 기업의 기술혁신 경쟁력(개인의 학력, 직업)으로 신용도 수준이 결정됩니다. 한 국가의 국력은 글로벌 무역에서 돈을 벌 수 있는 능력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습니다. 신용등급에 대해서 잘 모르시는 독자분들을 위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신용등급 신용등급은 사회생활에 있어 내 얼굴이자 명함과도 같다고 보시면 됩니다. 사회생활의 가장 기본.. 2023. 7. 11.
반응형